728x90
[자영업의 눈물] 전국 자영업 253만곳 조사하니 폐업률이 창업률 이미 넘어서
폐업 100만명 눈앞… 20년 된 빵집도, 3개월 된 식당도 문 닫아
"아내와 함께 매일 16시간씩 일하며 20년간 장사했지만 이젠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습니다. 일용직 자리 구하기도 쉽지 않다고 하는데 걱정입니다."
서울 강동구 한 상가 건물에서 1998년부터 프랜차이즈 빵집을 운영해온 전모(58)씨는 "두 자식 먹이고 공부시키며 힘들게 끌고 온 가게인데, 셔터를 내리게 만든 이 세상이 원망스럽다"고 했다. IMF 외환 위기 때 명예퇴직금을 들고 빵집을 시작한 전씨는 4~5년 전까지만 해도 한 달 3000만원 매출에 500만~600만원 수익을 냈다.
올 들어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제빵 기사와 알바생 임금이 치솟아 수익은 200만원 아래로 곤두박질쳤다. 전씨는 "이렇게 1~2년 버틴다고 해도 결국 빚더미에 오를 것이 뻔해 폐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21일 그의 빵집 유리창엔 '임대 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38㎡(약 11평)짜리 매장은 텅 비었다. 전씨는 "한때 사장님 소리를 들었는데, 이제는 집사람과 알바 자리 찾는 처지가 됐다"며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임대료 폭등에 최근 최저임금 인상이 겹치면서 자영업자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과세 당국에 폐업 신고한 개인, 법인 사업자는 총 90만9202명이었다. 올해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음식점과 주점, 카페, 치킨집, 소매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는 560여 만명. 이들은 "앞으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회식이 급감하고 소득이 줄어든 손님이 지갑을 닫으면 폐업 점포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폐업자 올해 100만명 넘을 듯
지난 15일 오전 경기도 광명시 한 주점에 주황색 조끼를 입은 폐업 처리 업체 직원들이 나타났다. 50㎡(약 15평) 남짓한 매장의 탁자와 의자, 주방 기구 등 집기를 트럭에 싣는 데 1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식당 주인 윤모(23)씨는 "가족 3명이 하루 12시간씩 일해 한 달에 500만원도 못 건졌다"고 말했다. 각자 아르바이트를 하는 게 더 나은 상황이 돼 버린 셈이다.
영업 3개월 만에 폐업한 윤씨에겐 빚 3000여 만원이 남았다. 그는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하다"며 헛웃음을 지었다.
◇"생계형 창업→대출→폐업 악순환"
상가정보연구소가 전국 자영업체 253만곳을 분석한 결과, 2017년 하반기 8대 업종 폐업률은 2.5%로, 창업률(2.1%)을 넘어섰다. 새로 문을 여는 곳보다 망한 곳이 더 많았다는 얘기다. 3개월 만에 폐업한 윤씨처럼 음식 업종의 폐업률이 3.1%로 가장 높았다.
자영업자 폐업이 잇따르면서 서울 황학동 중고 주방 기구 매입 업체에는 냉장고·세척기·식기 등 중고 제품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다. D주방 김모 대표는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 건물 전체와 옥탑 공간은 물론, 파주와 성남 창고 3곳까지 꽉 찰 정도로 물건이 밀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중고 그릇을 도매하는 K주방 관계자는 "요새 치킨집이나 카페에서 나오는 식기는 새것이나 다름없는 반짝반짝한 제품이 꽤 된다"며 "물건 수거하러 가면 주인들 보기 미안하다"고 말했다.
폐업 상담사로 활동하는 고경수 '폐업119' 대표는 "올 들어 폐업 상담을 받으러 오는 업체가 작년보다 20%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그는 "창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정부가 폐업에는 무신경하다"며 "유도에서 낙법을 먼저 배우는 것처럼 정부가 폐업 문제에 관심을 쏟아야 실패를 경험한 자영업자들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광명=김충령 기자] [이동휘 기자]
원문보기
폐업 100만명 눈앞… 20년 된 빵집도, 3개월 된 식당도 문 닫아
"아내와 함께 매일 16시간씩 일하며 20년간 장사했지만 이젠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습니다. 일용직 자리 구하기도 쉽지 않다고 하는데 걱정입니다."
서울 강동구 한 상가 건물에서 1998년부터 프랜차이즈 빵집을 운영해온 전모(58)씨는 "두 자식 먹이고 공부시키며 힘들게 끌고 온 가게인데, 셔터를 내리게 만든 이 세상이 원망스럽다"고 했다. IMF 외환 위기 때 명예퇴직금을 들고 빵집을 시작한 전씨는 4~5년 전까지만 해도 한 달 3000만원 매출에 500만~600만원 수익을 냈다.
올 들어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제빵 기사와 알바생 임금이 치솟아 수익은 200만원 아래로 곤두박질쳤다. 전씨는 "이렇게 1~2년 버틴다고 해도 결국 빚더미에 오를 것이 뻔해 폐업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21일 그의 빵집 유리창엔 '임대 문의'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38㎡(약 11평)짜리 매장은 텅 비었다. 전씨는 "한때 사장님 소리를 들었는데, 이제는 집사람과 알바 자리 찾는 처지가 됐다"며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임대료 폭등에 최근 최저임금 인상이 겹치면서 자영업자 폐업이 속출하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2016년 한 해 동안 과세 당국에 폐업 신고한 개인, 법인 사업자는 총 90만9202명이었다. 올해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음식점과 주점, 카페, 치킨집, 소매점 등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는 560여 만명. 이들은 "앞으로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회식이 급감하고 소득이 줄어든 손님이 지갑을 닫으면 폐업 점포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폐업자 올해 100만명 넘을 듯
지난 15일 오전 경기도 광명시 한 주점에 주황색 조끼를 입은 폐업 처리 업체 직원들이 나타났다. 50㎡(약 15평) 남짓한 매장의 탁자와 의자, 주방 기구 등 집기를 트럭에 싣는 데 1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식당 주인 윤모(23)씨는 "가족 3명이 하루 12시간씩 일해 한 달에 500만원도 못 건졌다"고 말했다. 각자 아르바이트를 하는 게 더 나은 상황이 돼 버린 셈이다.
영업 3개월 만에 폐업한 윤씨에겐 빚 3000여 만원이 남았다. 그는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하다"며 헛웃음을 지었다.
◇"생계형 창업→대출→폐업 악순환"
상가정보연구소가 전국 자영업체 253만곳을 분석한 결과, 2017년 하반기 8대 업종 폐업률은 2.5%로, 창업률(2.1%)을 넘어섰다. 새로 문을 여는 곳보다 망한 곳이 더 많았다는 얘기다. 3개월 만에 폐업한 윤씨처럼 음식 업종의 폐업률이 3.1%로 가장 높았다.
자영업자 폐업이 잇따르면서 서울 황학동 중고 주방 기구 매입 업체에는 냉장고·세척기·식기 등 중고 제품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다. D주방 김모 대표는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 건물 전체와 옥탑 공간은 물론, 파주와 성남 창고 3곳까지 꽉 찰 정도로 물건이 밀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중고 그릇을 도매하는 K주방 관계자는 "요새 치킨집이나 카페에서 나오는 식기는 새것이나 다름없는 반짝반짝한 제품이 꽤 된다"며 "물건 수거하러 가면 주인들 보기 미안하다"고 말했다.
폐업 상담사로 활동하는 고경수 '폐업119' 대표는 "올 들어 폐업 상담을 받으러 오는 업체가 작년보다 20%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그는 "창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정부가 폐업에는 무신경하다"며 "유도에서 낙법을 먼저 배우는 것처럼 정부가 폐업 문제에 관심을 쏟아야 실패를 경험한 자영업자들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고 했다.
[광명=김충령 기자] [이동휘 기자]
원문보기
728x90
'실버산업 50+세대 > 일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 스토리] 불안한 노후… '명퇴 김부장'의 재취업 분투기 (0) | 2018.06.30 |
---|---|
공공부문도 덮친 무인화, 일자리 갈등 폭풍 온다 (0) | 2018.06.27 |
위기의 노인들…저학력자 고용·실업률 역대 '최악' (0) | 2018.06.21 |
각자도생 ‘84만원 인생’…정부 손길 안닿는 중년 빈곤층 (0) | 2018.06.19 |
영세 자영업 일자리 8개월째 감소…청년 채용 '직격탄' (0) | 2018.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