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실버산업 50+세대464

은퇴 후를 고민하는 우리 부모님을 위한 꿀팁 2탄! -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편 대기업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S(61) 씨는 퇴직 후 3개월 동안 열심히 일한 대가로 아내와 함께 해외여행도 다녀오고 충분한 휴식을 취했습니다. 그런데 휴식의 시간이 길어지면서 과거 규칙적인 직장생활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생활의 무력감, 공허함이 밀려오기 시작했죠. (17.06.20‘ 금강일보 [베이비붐세대의 인생2막] ⑬ 그들은 일할 능력이 있고 일하고 싶어 한다 中) 기사 속 S씨의 이야기는 퇴직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우리네 부모님 세대에도 해당되는 이야기일 것 같은데요. 베이비부머 세대에 있어 ‘일’은 사회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정신적, 심리적 안정을 찾고 정신 건강과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소라고 합니다! 수십 년 간 다니던 직장에서 퇴직 후에 찾아오는 무력감은 여전히 일에 대한 열정을 가진 .. 2017. 10. 11.
"퇴직하고 나면 뭘 해야하지?" 은퇴 후를 고민하는 우리 부모님 위한 꿀팁! 퇴직하고 나면 뭘 해야하지? 부모님 세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법한 고민인데요. 오늘은 이렇게 퇴직 후를 고민하는 부모님들께 도움이 될 만한 꿀팁을 하나 알려드릴까 합니다. 이름하여 !! 고용노동부는 다양한 장년고용서비스를 마련해 퇴직 후가 막막하기만 한 장년들의 제 2인생 설계를 지원하고 있는데요. 오늘 설명해 드릴 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애경력설계서비스란? 만 40세 이상 근로자 및 구직자가 현재 자신의 직업역량을 분석하면서 미래의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경력진단, 진로설계, 개인경력관리계획 수립 등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롤플레잉, 팀빌딩, 진단, 교육, 게임 등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통해 단발성으로 그치지 않고 40대, 50대, 퇴직 전후별 1회씩 .. 2017. 10. 11.
노인 기준 '65세→70세' 조정하면 재정부담↓·노인빈곤↑ 2024년 경기도 재정 3천800억 절감…빈곤율은 크게 상승 (2017.10.06)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최근 노인 기준 연령을 현재 65세에서 70세로 높여야 하는지를 놓고 각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만약 70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면 재정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노인 절대빈곤율이 크게 높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경기복지재단 민효상 연구위원 등은 최근 '노인 연령 기준 상향조정에 따른 경기도의 영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인구를 기준으로 출산율 등을 고려해 장래 연령별 도내 인구를 추계할 때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2015년 10.5%, 2025년 16.2%, 2035년 25.1%로 높아진다. 하지만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로 높이.. 2017. 10. 11.
치매, 이제 국가가 책임지겠습니다 [100대 국정과제 ⑤] 치매 진단 어머님 둔 정책기자의 치매국가책임제 기대감 (17.8.22) 새 정부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이 발표됐습니다. 비전은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으로, 5대 국정목표와 20대 국정전략, 100대 국정과제를 설정했습니다.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앞으로 5년간, 대한민국 호를 이끌어갈 조타수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과연 5년 후 우리나라의 모습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요? 대한민국 정책기자단이, 기대되는 국정과제를 통해 미래의 대한민국을 가늠해 보았습니다.지난달 청천벽력같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엄마가 치매초기 진단을 받은 겁니다. 이 소식을 들은 식구들 모두 깊은 시름에 빠졌습니다. 이번에 진단을 받은 치매가 혈관성 치매인지 알츠하이머 동반 치매인지 여부에 따라서 검.. 2017. 10.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