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버산업 50+세대/일자리

고령자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은 무엇인가요?

by ∺∺§∺∺ 2024. 11. 12.
728x90

 

고령자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

 

한국 정부는 고령자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정책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2004년에 도입된 대표적인 고령자 고용 프로그램입니다 . 이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 60세 이상 노인들에게 보충적 소득을 제공하여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고,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며,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참여 규모: 2021년 기준으로 약 84만 명, 즉 60세 이상 인구의 6.4%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소득 수준: 월 소득은 27만원에서 196만1천원(약 209달러에서 1,521달러) 사이입니다.

일자리 유형

공공 서비스 일자리: 지역사회 필요에 따라 저소득, 저학력 노인들을 주로 고용합니다.

민간 부문 일자리: 지방 정부가 프로그램 참여자를 고용하는 민간 기업에 보조금을 제공합니다.

사회 돌봄 서비스 일자리: 2019년에 도입되어 사회 돌봄 수요 증가에 대응합니다.

예산 규모: 2021년 기준 총 예산은 2.3조원(약 17.8억 달러)으로, GDP의 0.11%를 차지합니다.

정책 효과

빈곤 감소: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의 월 소득과 국가 상대 빈곤선 사이의 격차를 16% 줄였습니다.

건강 개선: 참가자들은 사회적 관계, 신체 및 정신 건강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습니다.

의료비 절감: 건강 개선으로 인해 참가자들의 의료비 지출이 연간 7억원(약 543만 달러) 감소했습니다.

비용 효율성: 여러 연구에서 비용-편익 비율이 1.35~1.79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비용 효율성을 입증했습니다.

기타 정책 및 계획

노인 일자리 확대 계획: 정부는 2027년까지 노인 인구의 10%에 해당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노노(老老) 케어' 프로그램: 독거노인이나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노인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사회 서비스 분야 일자리 창출: 공공기관 및 사회복지시설과 협력하여 돌봄, 안전 등 다양한 사회 서비스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민간 부문 취업 및 창업 지원: 초기 자금 지원과 전문 상담 등을 통해 민간 부문 취업이나 창업을 지원합니다.

맞춤형 일자리 다양화: 새로운 노인 세대(베이비부머 등)를 위한 맞춤형 일자리를 다양화할 계획입니다.

결론

​한국 정부의 고령자 일자리 정책은 노인 빈곤 문제 해결과 사회 참여 증진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예산 규모와 임금 수준의 제한, 그리고 일자리의 질 개선 등의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향후 정책은 고령자의 경제적 안정성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