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버산업 50+세대/기사

[대한민국 부채보고서①]쓸 돈 없는 '苦령층'

by ∺∺§∺∺ 2018. 6. 21.
728x90
반응형

[글 싣는 순서]

1. 늙어가는 대한민국 부채
2. '빚' 썸(SOME)의 청춘
3. 돈 없는 우리 사장님
4. '빚'이라 쓰고 '집'이라 읽는다

60대 이상 실물자산 비중 84% 최고
금융자산 적어 부채비율 美의 2~3배
담보대출 보유 목적 29%가 생활비
고령층 원리금 상환 부담도 급상승
부채 65~74세 115%, 75세 이상 95%
한계가구 비중도 18%로 가장 높아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 부채가 늙어간다.

누구나 노년의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삶을 기대하지만, 한국인들은 나이가 들수록 오히려 빚이 늘어난다. 한국인의 은퇴 이후의 삶에는 현금이 없다. 가진 것이라곤 실물자산, 집 한 채 뿐이다. 집을 담보로 대출하거나 연금을 받아 생활비를 마련하고 있지만, 인구 감소에 따른 부동산 가격 하락 위험이 노년의 삶을 상시 위협하고 있다. 고령층의 부채는 타 연령층보다 더욱 취약하다. 고령층 부채의 약 40%가 금융자산 1~2분위의 가난한 노년층에 몰려 있다. 고령층의 부채가 만기일시상환방식과 비은행금융회사에 몰린 것도 문제다. 금리 인상 및 부동산 가격 하락이 고령층 부채가구를 위협하고 있다.

◆돈 없는 고령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가계부채 주요 이슈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가계의 경우 60대 이상 고령층으로 갈수록 실물자산 편중도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고령층일수록 금융자산의 비중이 높아지는 미국ㆍ일본 등의 사례와 대비된다. 고령층의 자산 중 실물자산 비중은 84%로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다. 금융자산이 적다 보니 고령층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미국 보다 2~3배 높다.

고령층은 돈이 주택 등 실물 자산에 묶여 있어 생활 자금 마련을 위해 빚을 낸다.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를 보면 60대 이상에서 담보대출 보유 목적의 29%, 신용대출 보유 목적의 41%가 생활비 및 기타 자금 마련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55~74세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경우 금융부채 상환을 위해서는 실물자산 처분이 불가피한 가구가 다수인 것으로 분석됐다. 
자산이 실물로만 몰려있을 경우 인구감소로 부동산 가격이 점차 떨어지는 상황에서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소는 2018년 이후 부동산 핵심 수요층인 자산축적연령인구 감소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며, 이에 따른 가격하락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고령층의 실물자산의 금융자산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만기일시상환, 고령층 위협한다

고령층이 짊어진 부채의 무게는 전 세대 중에서 가장 무겁다. 전 세대 중 60대 이상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60대 이상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는 2012년 20.1%에서 2017년 31.9%로 급증했다. DSR이란 소득 대비 연간 대출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특히 65~74세의 부채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의 비율은 55~64세 85%, 65~74세 115.2%, 75세 이상 95.3%로 나타났다.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가 낮아지는 미국, 일본과는 달리 연령이 높아질수록 금융부채 비율이 늘어나는 점이 심각한 위험요인으로 꼽혔다.

고령층의 대출 구조에서 만기일시상환 비중이 높은 것도 문제다. 2017년 60세 이상 차주 담보대출 중 만기일시상환 비중은 44.0%로 30대(23.7%), 40대(21.1%), 50대(41.0%)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우 은행 외 금융회사 대출 비중이 타 연령층에 비해 높다는 점도 위험요인이다. 2016년 고령층의 비은행 대출 비중은 26%에서 2017년 30%로 증가했다.

◆고령층은 한계차주

60대 이상 고령층의 한계가구 비중이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른 연령별 한계가구 비중을 보면 30~40대 12.6%, 50대 13.7%, 60대 이상 18.6%로 고령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계가구란 처분 가능 소득에 대한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40% 이상이고,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가구를 말한다. 고령층 금융자산 하위계층(1~2분위)이 보유하고 있는 가계부채는 전체 고령층 부채의 37%를 차지했다. 

일부 고령층은 DSR 급증으로 실물자산 매각을 통한 부채 상환 및 생활 자금 마련을 위한 금융자산화가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부동산 가격 하락 및 소득 감소에 취약한 한계가구의 42.1%가 50~60대로 파악됐다.

김완중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대내외 불안에 따른 부동산 침체 및 소득 충격 등으로 디레버리징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할 경우 고령 가구의 부실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원문보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