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생활비·주거비 등 부족 탓
1인당 평균 1300만원 대출
고금리 이용한 경우도 10%
15%는 제때 못 갚아 ‘연체’
20%는 직업 없어 백수 신세
대학생도 매달 52만원 부족
88%는 부모에 등록금 받아
대학생을 제외한 청년 5명 중 1명은 직업이 없고, 3명은 생활비와 주거비 등 때문에 돈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절반 이상이 결국 부모에게 손을 벌렸고, 대출을 받은 청년도 20%나 됐다. 빨리 대출을 받으려고 고금리 카드 대출을 이용하는 경우도 약 10%를 차지했다. 수입은 부족한데 돈 나갈 곳은 많은 20대 청년들의 현실이다.
금융위원회는 5일 이런 내용의 청년·대학생 금융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갤럽에 의뢰한 조사는 지난 5월 말부터 19∼31세 남녀 1700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진행됐다. 대학생과 대학생을 제외한 청년층 각각 850명이 응답했다.
마땅한 직업이 없는 대학생들은 월수입이 턱없이 부족했다. 평균 월수입은 50만1000원이었다. 지출은 월평균 102만2000원으로 매달 52만원 정도가 적자다. 지출 중 등록금·책값 등 교육비가 55만4000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생활비(36만8000원), 주거비(9만6000원) 지출이 뒤를 이었다. 적자가 나니 75.5%는 부모에게 손을 벌린다.
대학생 4명 중 3명은 연간 등록금이 500만∼1000만원이다. 대학생 88%는 등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부모에게서 받는다. 27%는 적자를 메우려고 학업 말고도 일을 한다. 다만 95%가 계약기간 1년 미만 임시직이다. 자기계발보다는 용돈·생활비 목적의 노동(99%)이라 학업에도 악영향이 있을 수 있다.
대학을 졸업한다고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는 않는다. 대학을 다니지 않는 청년층의 평균 월수입은 약 157만6000원이다. 월급 기준 내년 최저임금인 157만3770원을 겨우 넘는다. 지출이 약 89만3000원으로 적자는 면했지만 61%는 생활비·취업준비자금·주거비가 부족하다고 느낀다. 결국 절반 이상이 부모 도움을 받는다. 20%는 대학을 다니지 않고, 직업도 없다. 10명 중 1명은 구직 활동을 하지만 준비 기간이 6개월을 넘는 경우가 절반에 가깝다.
여기에 부모와 따로 산다면 주거비 부담이 가중된다. 청년·대학생의 22.9%는 부모와 따로 산다. 절반 정도(51%)가 월세라서 부담이 더 높다. 이들의 월세비용은 30만원 미만이 44.2%, 30만∼50만원이 49.3%, 50만원 이상이 6.5%였다. 평균 월세 부담은 31만원이었다. 보증금이 10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70%나 됐다.
돈이 부족하니 부모 도움을 받고, 그래도 부족하면 대출에 손을 댄다. 본격적인 경제활동을 하기 전인 대학생 12.5%가 대출을 경험했다. 주로 학자금 목적(85.9%)이었다. 대학생이 아닌 청년들은 20.1%가 대출을 받아봤다. 고금리 대출과 연체 상황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대출받은 청년층 10명 중 1명은 연 금리 10%에 가까운 캐피털·카드사 대출 등을 이용했다. 저축은행(1.8%) 대부업체(1.8%)도 이용됐다. 빨리 대출을 받을 수 있어서(60%), 은행 등을 이용할 수 없어서(24%) 등 이유로 고금리 대출을 받았다. 청년층 평균 대출액은 1303만원으로 대학생(593만원)의 배 이상이었다. 청년층 대출자 중 15.2%는 연체한 적이 있었다. 3개월 이상 연체 비중도 2.9%나 됐다.
이들 청년·대학생들은 심층 집단 면접조사에서 금융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학 졸업 후 취업준비기간에도 정책금융을 지원하고, 청년 임대주택 확대 및 정부 주도의 기숙사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금융위는 이번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금융지원 강화 방안을 검토한 후 연내 발표하기로 했다. 우선 신용카드 사회공헌재단 출연 등을 통해 내년에 청년·대학생 햇살론을 약 600억원을 추가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청년·대학생 햇살론은 2012∼2017년 총 2500억원이 공급됐다. 연소득 3500만원 이하 대학생, 청년 등이 받은 연 금리 15% 이상 고금리 대출을 연 4.5∼5.5%로 바꿔주는 정책대출이다. 생활비·주거비 용도 대출도 가능하다. 금융위 관계자는 “청년층이 정책대출을 잘 모르는 점을 감안해 홍보를 늘리고, 청년층에 대한 고금리 대출 감독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728x90
반응형
'실버산업 50+세대 >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청 2016 소득분배지표에 따른 상대적 빈곤율 증가 (0) | 2017.11.09 |
---|---|
삼성전자發 '60세 CEO 퇴진'… 어디까지? (0) | 2017.11.06 |
[디지털스토리] "난 나와 결혼한다"…지구촌에 비혼 확산 (0) | 2017.11.05 |
[Top-Notch]㊻ '터미네이터'와 '아이보'··· 인공지능 로봇 시대 '성큼' (0) | 2017.11.05 |
거꾸로 가는 한국의 연령별 소비성향…선진국에 비해 韓 고령층 하락 심각 (0) | 2017.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