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실버산업 50+세대467 통계청 2016 소득분배지표에 따른 상대적 빈곤율 증가 (통계청 2016 소득분배지표)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근로연령층(18~65세) 상대적 빈곤율은 9.0%로 전년대비 0.5%p 증가하였으며, 은퇴연령층(66세이상)도 47.7%로 2.0%p 증가하였다.연령계층별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기준) 상대적 빈곤율(근로연령층) 상대적 빈곤율(은퇴연령층) 상대적 빈곤율상대적 빈곤율이란 전체 인구 중 빈곤 위험에 처한 인구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상대적 빈곤선을 설정한 이후 이를 바탕으로 상대적 빈곤율을 계산합니다. 상대적 빈곤선은 전체 인구의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중위소득의 50%에 해당하는 소득으로 정의합니다. 그래프에서 중위소득이 1,833천 원일 때 상대적 빈곤선은 중위소득의 50%인 917천 원이 됩니다. 소득이 917천 원 이하인 인구비율이 14.6.. 2017. 11. 9. 내년부터 경증치매노인 24만명 장기요양보험 혜택받는다 어르신 9만명 장기요양비의 40%까지 감면 대상에 신규 포함 내년 보험료율 7.38%로 '8년만에 인상'…보험수가는 11.34%↑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내년부터 경증치매 노인에게는 '인지지원등급'을 부여해 증상 악화를 지연시키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금 경감 대상이 확대된다. 대신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강보험료액의 7.38%로 8년만에 인상된다. 보건복지부는 6일 열린 제4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장기요양보험 보장성 강화대책'과 '2018년 장기요양 수가 및 보험료율'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장기요양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한다. 그동안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올해 4인가구 기준 월소득 223만원) 수급자에게 적용되던 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경감 혜택이 기.. 2017. 11. 7. 일본 고령자 일자리 창출 사례와 시사점 ■ 고령자 고용률 개선이 필요한 한국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55~64세 고용률 (55~59세 70.6%, 60~64세 59.4%)이 일본(동 83.4%, 62.2%)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나 타났다. 이 연령대는 자녀 교육, 혼인, 노후 준비 등이 겹치는 시기로 안정적인 일자리와 소득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일본의 고령자 고용 증대를 위한 정책 노력과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내 고령자 고용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 고자 한다. ■ 일본의 고령자 고용 지원 정책 (고령자(일본에서는 고연령자로 칭함, 이하 고연령자로 표기) 고용 지원 정책) 일본의 고령자 고용지원정책은 1995년 성립된 ‘고령사회대책기본법’에 근거한 ‘고령.. 2017. 11. 7. 노동력 자동화가 일본에 미치는 영향 * 이 자료는 Michael A. Osborne 옥스퍼드대학 교수가 닛케이신문 경제교실 “인공지능은 직업을 빼앗을까(上): 일본, 생산성 향상의 기회로”(2016.1.12)에 기고한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임 ㅇ ICT에서 구미에 뒤진 일본은 로봇 혁명을 중시 ㅇ 일본의 현재 노동의 49%는 자동화가 가능 ㅇ 사람을 창조성과 의사소통 능력이 필요한 직업으로 전환 추진 □ 자동화 기술로 대체될 노동력 ㅇ 일본의 장기 경제침체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노동인구의 절반이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와 로봇 혁명에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지가 일본경제의 장래를 좌우 ㅇ 일본은 다른 국가보다 노동의 자동화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계학습이나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향후 10~20년간에 현.. 2017. 11. 6. 이전 1 ··· 74 75 76 77 78 79 80 ··· 11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