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버산업 50+세대/논문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by ∺∺§∺∺ 2018. 5. 8.
728x90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Well-dying
Preparing Education Program


지도교수 김 혜 온


목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 전공
이 혜 경

-------
목 차
목 차 ···············································ⅰ
영문초록················································ⅶ
제1장 서론·························································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3
제2장 이론적 배경 ································································4
제1절 웰에이징(well-aging)과 웰다잉(well-dying) ·······································4
1. 죽음의 의미 ····································································································5
2. 노년기와 죽음 ······························································································14
3. 한국인의 죽음관 ··························································································17
4. 웰다잉(well-dying) ·····················································································19
제2절 죽음불안 ·····································································································23
1. 죽음불안의 의미 ··························································································23
2.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3. 죽음 수용의 과정 ························································································27
제3절 생활만족도 ·································································································36
1. 생활만족도의 의미 ······················································································36
2.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제4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고찰 ·······················································43
1. 외국의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43
2. 한국의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사례 ············································47

------
ii -
3.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한 심리치료기법 ····························52
제3장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64
제1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64
1.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목적 ····················································64
2.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 ····················································65
제2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68
1. 예비 프로그램의 구성과 수정 ··································································68
2. 본 프로그램의 구성 ····················································································70
3. 프로그램의 내용 및 심리치료 전략의 적용 ··········································72
제4장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81
제1절 연구방법 ·····································································································81
1. 연구대상 ········································································································81
2. 측정도구 ········································································································82
3. 연구절차 ········································································································84
4. 연구가설 ...........................................................................................................85
5. 자료수집과 분석 ··························································································86
제2절 연구결과 및 해석 ·····················································································87
1.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87
2.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94
3.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100
제5장 논의 ·············································································································103
제1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논의 ·····························103

-----
iii -
제2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효과분석과 관련된 논의 ·····················106
제3절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과 관련된 논의 ···············109
제6장 결론 및 제언 ·····························································································118
제1절 결론 ···········································································································118
제2절 제언 ···········································································································120
참고문헌 ·····················································································································123
국문초록 ·····················································································································132
부록 ·····························································································································134

-----
iv -
표 목 차
<표2-1> Deeken의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일본) ······································46
<표2-2> 박종현(2014)의 웰다잉 프로그램 ·························································48
<표2-3> 나사로학교 웰다잉 프로그램 ·································································50
<표2-4> 웰다잉 지도사 대상 웰다잉 프로그램 ·················································51
<표2-5> 회상요법의 단계별 내용 ·········································································53
<표3-1> 본 연구의 예비프로그램 ·········································································69
<표3-2> 본 연구의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 ·················································71
<표4-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성별구성과 연령 ···········································81
<표4-2> 죽음불안 척도 문항번호와 문항 수 ·····················································83
<표4-3> 생활만족도 척도의 하위변인에 따른 세부목표분류 ·························84
<표4-4> 죽음불안의 측정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 ···········································87
<표4-5> 죽음불안에 대한 반복측정 다변량분석 결과 ·····································88
<표4-6> 죽음에 대한 인지 및 정서적 반응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결과 ·····89
<표4-7> 죽음에 대한 인지 및 정서적 반응의 평균과 표준편차 ···················89
<표4-8> 시간의 빠른 흐름에 대한 불안의 반복측정 분석결과 ·····················90
<표4-9> 시간의 빠른 흐름에 대한 불안의 평균과 표준편차 ·························91
<표4-10> 신체변화와 질병에 대한 불안의 반복측정 분석결과 ·····················92
<표4-11> 신체변화와 질병에 대한 불안의 평균과 표준편차 ·························93
<표4-12> 생활만족도의 측정시기별 평균과 표준편차 ·····································94
<표4-13> 생활만족도에 대한 반복측정 다변량 분석 결과 ·····························95
<표4-14> 과거 만족도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결과 ···········································95
<표4-15> 과거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96
<표4-16> 현재 만족도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결과 ···········································97

-----
v -
<표4-17> 현재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98
<표4-18> 미래 만족도에 대한 반복측정 분석결과 ···········································98
<표4-19> 미래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99
<표4-20>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101
<표4-21> 각 회기별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101
<표4-22> 프로그램 만족도의 분석결과 ·····························································102


-----
vi -
그림 목차
〔그림3-1〕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절차 ········································67
〔그림4-1〕 죽음의 인지 및 정서적 반응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90
〔그림4-2〕 시간의 빠른 흐름에 대한 불안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
작용 ·······························································································································91
〔그림4-3〕 신체변화와 질병에 대한 불안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
작용 ·······························································································································93
〔그림4-4〕 과거 만족도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96
〔그림4-5〕 현재 만족도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98
〔그림4-6〕 미래 만족도의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 ······················100

-----


vii -
Development and Effect of Well-dying
Preparing Education Program
HEA KYUNG L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Mokpo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e-On Kim)

<Abstract>
In this present era when the society has become rapidly aging, ‘death’ is an issue inevitably accompanied. Wellbeing is on the continuum of well-dying. Entering into a rapidly aging society requires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and preparation for, death on the part of both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to make deliberate contemplation on ‘well-dying’, which could represent human beings’ last mission, dignified death.
Through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help elderly people understand and prepare death, and to identify their effectiveness of how these well-dying programs are associated with reducing elderly people’s anxiety towards death and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
viii -
For this study purpose 30 people living in G-city in South Jolla area(15 for experimental group, 15 for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on whom tests measuring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his program was run once a week,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15 for 3 months of period, altogether 10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test resul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with SPSS 2.1 program in repeated measures multivariate analysis, and the findings revealed from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fter the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the level of death anxiety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Instead of spending their remaining time in fear of death, the subjects settled those tasks which had been left incomplete in their life and found a state of balance in their mind by accepting the fact that they live their life following the nature’s law.
Second, After the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it was revealed that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process of finding out what they genuinely

------
ix -
wanted, they came to feel satisfied with their life by expressing the pleasure of living and gratitud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with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level was measured. Moreover, those sessions employing recollection technique and Gestalt therapy turned out to be most satisfactory.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South korea facing a super-aged society needs well-dying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not only for a quality of elderly life but also for the closure of wellbeing over the entire life as a whole. In addition, this well-dying preparation program is expected to integrate elderly life so that they can have a dignified life.

-----

1-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급속한 고령화의 사회로 치닫고 있다. 지난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며(통계청, 2003) 2018년이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2022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14.3%로 크게 증가함으로써 본격적인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최외선, 2007). 이렇게 급속도로 늘어나는 노인인구의 비율은 매 년 증가하여, 다가오는 2030년에는 25%에 육박하리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통계청, 2009). 사회적으로는 1960년 이후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 서구화의 물결과 함께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노인문제는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노년기에 흔히 일어나는 문제로는 가장 크게는 경제적 어려움과 가족의 관심 부족, 그로 인한 노년기 우울증과 치매 그리고 죽음으로 이어지는 불안이다. 특히 배우자의 사별과 은퇴 등으로 경제적 손실로 인한 좌절감과 무력감 그리고 가족 내에서의 역할 상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떨어뜨리며, 죽음불안을 더욱 부추길 것으로 보여진다(김양님, 2015; 조원규 2013). 이처럼 초고령화 사회로 치닫고 있는 지금, 같이 동반되는 이슈는 ‘죽음’이다. 급속한 고령사회로의 진입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그럼에도 죽음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고 있는 노인이 약 45%, 죽음준비를 하고 있는 노인은 약 32%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정영기, 2000).
죽음준비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가 새 생명의 탄생을 기뻐하고

-----
2 -
축하하듯, 죽음도 명예롭고, 가족과 친지들이 보는 앞에서 존엄하게 치러질 권리를 갖게 하자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죽음을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 대화를 회피하며, 자기 죽음의 의미에 대해 직면하지 않으려 한다(오진탁, 김춘길, 2009).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죽음에 대해 어떤인식과 태도를 지니는가는 세상을 살아가는 가치관의 핵심이며,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죽음은 어떠한 사람들에게나 반드시 찾아오는 보편적인 것이며, 절대적인 현실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자살률, 우울증 유병률, 치매의 증가와 고독사 등의 불행한 임종 모습 등을 감안했을 때, 이제는 웰다잉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사회적 차원의 관심으로 보다 나은 삶을 준비해야 할 때가 온 것으로 보여진다. 이렇게 중요한 저 너머의 삶으로 가는 마지막 관문이 임종 임에도 불구하고,  의료인들은 과학기술을 맹신한 나머지 생명을 기계로 연장하는 일에 집착하게 되었다(Robbinson, 1993). 노인이 임종을 기다리는 곳은 대부분 의료기관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기술의 발달과 연명 치료로 인해 임종준비기간이 길어지는 상황에서 장기요양서비스라는 임종간호와 연명치료행위에 대해서 숙고해 볼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즉 이승의 끝에서 심리적 접촉인 가족 간의 화해와 용서, 또는 기억의 치유과정 없이 행해지는 이러한 의료행위의 죽음준비가 인간 본연의 삶의 질을 낮추고 존엄하고 품위있는 죽음을 빼앗아가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가져보았으면 하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죽음 준비교육을 살펴보면, 외국의 사례에서도 독일의 경우 청소년의 자살이나 안락사 및 묘지 견학이나 묘비명에 대한 연구 정도에 그치며(차미영, 2006; 박형규, 2009), 일본의 경우 말기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독서·예술 치료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주로 비탄(grief)교육, 자살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볼 수 있다(정의정, 2013). 국내 연구에서도 죽음 관련 강의 및 사별 극복 방법 등이 교육위주의 논의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
3 -
서 웰다잉 준비교육으로는 부족한 점이 있다(박종현, 2014). 그리고 그러한 프로그램 등은 죽음을 앞둔 이들에게 죽음에 대해서 올바르게 이해하고 접촉하며 수용하게 하는, 심리치료적인 요소를 이끌어내는 과정은 대부분 없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가 반영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되며, 앞으로 더욱 전문화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 프로그램이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들에게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돕고, 삶의 만족도 및 죽음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좋은 죽음과 어떻게 연계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을 맞는 본인과 가족들이 평화롭고 행복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심리치료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보고 도움을 주려고 한다.

제2절 연구문제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2.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2-2.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2-3.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웰에이징(well-aging)과 웰다잉(well-dying)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을 웰빙이라고 한다면, 사람이 사람답게 죽는 것을 웰다잉이라고 하고, 사람이 사람답게 늙는 것은 ‘웰에이징’이라고 한다.
우리는 이제 어떤 상태로든 최대한 오래 사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건강하고 행복하게 잘 사는 것이 누구나 바라는 성공적인 삶일 것이다. 죽음 자체가 결코 아름다운 것은 아니지만, 건강하게 살다가 인간답게 죽어갈 방법이 있는 것이다. 이것이 곧 웰에이징이다.
죽음에 대한 통찰이 깊으면 깊을수록, 현실의 삶은 진실되고, 조심스럽게 한발 한발 세상의 시간을 견디어낸다. 죽음을 염두에 둔 삶의 자각은, 오히려 사람들에게 죽음의 구속과 세상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롭게 만든다. 웰빙이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삶’이라면, 웰다잉은 인간으로서의 품위가 있는 죽음을 전제로 삶의 내면을 풍요롭게 가꿔 삶의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인간이 인간답게 죽는 것’을 의미한다(김미희, 2013). 잘 죽는다는 것은 잘 산다는 것의 연장선이다. 잘 삶이 ‘좋은 죽음’을 가져오는 것이며, 삶과 죽음은 서로 상반되는 개념이기는 하나 인생의 연장선상에서 공존할 수 밖에 없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죽음을 미루는 데 매달릴 것이 아니라 ‘남은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어제의 삶이 오늘의 삶으로 이어지고 오늘의 삶이 내일의 죽음과 이어진다. 따라서 오늘날처럼 복잡한 현대 사회 안에서 어떻게 살아야 좋은 삶을 살 수 있을 지를 함께 고민해보고, 좋은 죽음이 지닌 의미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
5 -
1. 죽음의 의미

인간의 노화는 서서히 죽음과 접한다. 즉, 인간의 노쇠현상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자연스런 신체적, 생리적 쇠퇴를 말하는 것이다. 나이 들어간다는 것, 노화는 필연적으로 죽음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들은 죽음을 부정하고 싶어하며, 언급을 회피하려 든다. 이는 생의 마감을 준비해야 하는 시간에 오히려 그러한 시간과 맞서 싸우거나 질병과의 전쟁을 치룬다. 의료 기술의 발달로 인간은 과거보다 오래 살기는 하지만 그렇다 해도 결코 죽음을 지나칠 수는 없다.
수 세기동안 서양 철학사에서 삶과 죽음은, 플라톤의 우주론과 영혼불멸이라는 기독교의 창조론에 힘입어 모든 유기체와 피조물의 삶과 죽음을 ‘돌아가야 할’ 그 무엇으로 보았다. 그러다가 근대 과학의 발달로 이제 더 이상 다윈의 진화론 이후의 현대 서구 과학자들과 철학자들의 사고에는 영혼불멸이나 초월적 존재로써의 신과 연관된 고전적 이해는 더 이상 통용될 수가 없어 보인다(송영진, 2001).
의학적 판정에 있어서도 그 판정기준은 죽음에 대한 개념의 중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변천되어 왔다(조연옥, 1999). 과거에는 호흡정지, 심박동 정지, 피부색의 변화, 근육이완과 경직 등이 죽음판정의 지침이 되었으나 (이명숙, 2012), 현대에 와서 의학의 발달로 인해 비록 뇌의 기능이 정지되었다 하더라도 인공호흡기의 도움으로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죽음의 의학적 판정 또한 어렵게 되기에 이르렀다(박원기, 1990). 죽음을 둘러싼 사회 각계각층의 찬반의견의 대립으로 심폐기능의 정지를 ‘사망’이라 명명하였고, 전뇌기능의 소실을 뇌사로 규정하였으며 결국 뇌사판정은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무의미한 연명치료행위의 중단과 함께 장기공여의 경우에만 시행토록 하였다. 죽음에 대한 여러 입장들이 있겠으나 생물학적인 세포의 불가역

-----
6 -
적인 기능상실로써의 죽음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에 다소 맞지 않아 이 정도로 가름하며 죽음 이론의 역사를 추적해본다.
에피크로스학파는 '죽음 자체는 무의식과 같은 것이고, 죽음은 의식의 상실일 뿐이다'라고 하면서 더 체념적이고 보다 명상적인 죽음관을 제시하였다. 즉, 에피쿠로스는 죽음에 관한 세 가지 쟁점을 인용했는데, ‘영혼은 죽는다, 죽음은 결국 무(無)이다, 태어나기 전의 암흑세계와 죽은 후의 암흑세계는 상호대칭이다‘ 라고 하였다. 그는 ‘인간은 살아있거나 죽어있거나, 둘 중의 어느 한 상태에 있다. 그런데 살아있는 동안 아직 죽음이 경험되지 않고, 죽어있는 상태에서는 더 이상 우리의 의식이 살아 활동할 수 없다(중략)...결국 인간은 죽음에 대해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고 하였다(조원규, 2013).
또한 에피쿠로스는 영혼은 죽어서 육체와 같이 사라진다고 가르쳤다. 즉, 사후세계를 무(無)라고 단정 지으며, 그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변을 버리고 오직 현세에만 충실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그보다 100여 년 전 기독교 신앙관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을, 소크라테스의 ’영원히 살 것‘이라는 입장과는 대조적이다. 만약 육체와 함께 영혼도 죽는다면 죽은 후의 삶에 대해서 염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며 잃어버린 삶에 대해서도 후회하지 않을 것이며, 신에 대해서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단지 후회하지 않으면서 살 수 있는  방법들을 찾으라고 하면서 미래를 향해 눈을 돌리라고 하였다.
중세 초기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스토아학파의 영향을 받아 원죄설과 삼위일체론에서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중심으로 죽음의 공포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는 죽음의 공포가 언제나 내 마음 안에 있었다고 말하면서 죽음의 공포는 신의 은총을 통하지 않고서는 극복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김정우, 1999). 이와 같은 맥락에서 Rahner 또한 인간학적이고 우주론적인 차원에서 죽음의 의미를 깊이 있게 통찰하였고, 이를 근간으로 구원론적 해설을 전개하였다. Rahner의 주장을 보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보편

------
7 -
적 죽음은 노쇠하거나 병들거나 하여 모든 사람은 죽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Rahner는 죽음의 보편성은 죄로 인한 인간의 윤리적 종말을 의미한다. 즉, 인간이 사는 동안 죄에 물드는 데, 이 결과로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은 죽으면 영혼은 육신과 분리되어 육신은 먼지가 되고 영혼은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데, 이는 죽음으로써 영혼이 육신으로부터의 이탈이 아니라, 개체의 육체적 원소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더욱 밀접한 관계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죽음을 인생의 끝으로 이해하는데 반해 Rahner는 인생의 완성, 즉 범우주론적으로 보았다(장옥화재인용, 2004).
그 후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실존주의 철학자들은 현존재와 실존에 관심을 두면서 죽음의 의미를 진지하게 다루었다. 예를 들면, 독일 철학자 Heidegger는 현존재로써의 인간을 죽음에로의 존재로 규정하였다. 그는 ‘죽음의 실체는 우리를 파괴하지만, 죽음에 대한 생각은 우리를 구원하였다’라고 함으로써 존재의 허상과 존재의 존재라는 패러독스를 분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Heidegger는 죽음에 대한 인식은 경험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간 의식의 내재적인 것으로 선험적 구조라고 하였다. 즉 인간은 항상 일상에서 죽음에 직면해 있으며, 죽음이 먼 미래의 어떤 것이 아니라고 강조한다(김준희, 2013).
20세기에 들어 실존주의 심리학에서는 죽음과 고독을 관련지어 설명하였는데, Levinas(2000)는 죽음에 대하여 우리가 고통과 괴로움 속에서 ‘고독의 비극’을 형성하는 결정적 요소를 순수하게 바라보게 되며, 이 결정적 요소는 그 어떠한 향유의 무아경을 통해서도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다가온다고 했다. 고통은 그것-죽음-을 회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토록 뼈아프며, 삶과 존재를 궁지로 내몰고 있다. 그래서 고통가운데 불가능한 무(無), 즉 그것이 아무 것도 아닐 수 없다는 것에 대한 호소와 더불어 죽음에의 가까움이 동시에 존재한다고 하였다. 결국 삶과 죽음은 인생의 동반여행이다.


-----
8 -
Levinas는 죽음을 세 가지로 귀결시켰는데, 첫째, 죽음은 결코 경험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나의 이런 인식의 틀에 환원 될 수 없는 미지의 것으로 남는다. 둘째, 죽음은 이런저런 관념처럼 나 자신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날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것이다. 셋째, 또한 죽음은 내가 그 앞에서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전적인 ‘수동성의 경험’이다. 죽음이 접근해 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어떤 순간부터 우리는 ‘할 수 있음’을 더 이상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주체는 자신의 지배를 상실한 주체이다(Levinas, 2000).
현대에 와서는 죽음의 원인에 대한 인식이 종교나 형이상학적 관점과 더불어 과학적 관점이 어느 정도 공존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고도의 과학기술과 인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코 통제할 수 없다는 절대적 타자로써의 죽음을 수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최성환, 2004).
Becher(2004)에 의하면, 인간은 반은 동물이고 반은 상징적인 존재라는 상징적 자아를 갖고 있다고 본다. 인간은 원자와 같은 작은 것에 대해서도 사색하지만 영원과 같이 무궁한 것에 대해서도 사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다. 한 마디로 인간은 자기의식 속에서 불멸의 존재가 된다. 그러나 인간은 육체를 가진 유한한 존재이다. 몸에는 심장이 펌프질을 하고 있고 숨을 헐떡거리고 아픔을 느끼고 피는 순환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사실은 자신의 몸이 결국은 죽고 부패된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이 이 세상에서 가장 고유하다는 것을 앎으로써 장엄함을 간직하고 자연으로부터 뚜렷하게 구분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동시에 자신은 어쩔 수 없이 썩어 문드러져서 땅 속으로 사라져버릴 것이라는 이원적인 딜레마를 숙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Becher가 말하는 인간의 가장 핵심적이고 원초적인 딜레마이다.
한편 부위훈(2001)은 ‘죽음, 그 마지막 성장’에서 생명의 10단계와 가치방향 모델을 통해 그 극복의 문제를 설명하였는데, 생명의 10단계란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생명은 생명존재의 제반 이외의 높낮이가 있어 가치취향에 따
-----
9 -
라 아래 단계에서 윗 단계로 향하는 단계를 갖추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것은 첫째, 신체활동단계, 둘째, 심리활동단계, 셋째, 정치사회단계, 넷째, 역사문화단계, 다섯째, 지성탐색단계, 여섯째, 심미경험단계, 일곱째, 인륜도덕단계, 여덟째, 실존주체단계, 아홉째, 궁극적 관심의 단계 그리고 열번째로는 궁극적 진실의 단계이며, 위의 열 가지 단계 중에서 죽음과 그 극복의 문제와 관계되는 단계는 마지막 세 단계 - 실존주체, 관심, 궁극적인 진실의 단계 - 라고 보았다. 그는 “모든 실존적 존재가 각자의 죽음을 대하는 태도는 다른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독특함과 존엄성을 지닌다고 보았으며 죽음의 문제에 관한 성찰이나 극복은 종교적이거나 고도의 정신적인 궁극적인 관심을 과제로 삼을 것이고, 이 과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궁극적인 진실의 발견이나 체득을 필요로 한다고 하였다.
이렇게 많은 학자들의 견해로 볼 때, 결국 죽음이란 우리의 의지를 넘어서 ‘수용할 수 밖에 없는’ 일련의 사태이며, 그 사태를 회피한다고 해서 결코 겪지 않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으로 죽음에 대해 용기 있게 받아들이고 마음을 열고 결코 통제할 수 없는 이 죽음에 직면하라는 것이다. 죽음에 대한 사유의 목적은 대상으로써의 죽음의 인식이 아니라, 바람직하게 살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의 모색이다(Francoise, 2003). 최성환(2004)은 기본적으로 ‘죽음을 통한 초월’이라는 오래된 철학적, 종교적 이념을 추종하지는 않는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견해와 동의한다. 오히려 절대적 타자로써의 죽음을 인정함으로써 죽음의 의미, 즉 삶에서의 죽음의 의미를 물을 것이다. 결국 죽음과의 대화는 삶의 의미를 묻는 작업일 것이며, 그것은 죽음을 정의하는 작업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죽음은 정의 될 수 없는 것이기에 우리는 죽음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다. 고통과 괴로움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삶을 지치게 할 때 우리는 죽음을 사유한다. 비록 인간이 항상 죽음을 의식하고 살지는 않지만, 고통과 불안 그리고 타자의 죽음

-----
10 -
속에서 죽음은 의문의 대상으로 다가오고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죽음은 마치 아주 친숙하면서도 정작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그런 것이다(Francoise, 2003). 그렇다면 죽음을 받아들이고 정면으로 직면할 때, 죽음 뒤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유한한 존재가 무한한 실존과 마주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죽음 자체가 종교적이며 종교를 떠나서는 정의 될 수 없으므로, 이 장에서 죽음에 대한 종교적 관점을 살펴보려고 한다.
김동배와 권중돈(2010)은 기독교에서 죽음은 삶의 끝이 아니며 오히려 새로운 생명, 즉 영원한 생명을 위한 출발이며 과정이라고 규정하였다. 죽을 수 밖에 없는 유한한 인간이 신의 은총에 의해 영원한 생명으로 덧입혀지고 새로운 존재양식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또한 죽음이라는 단절은 이별과 슬픔을 동반하지만 부활과 영생의 상급을 바라보며 서로 위로하라는 것이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가톨릭은 생사 간에 중간적 지대인 연옥의 장소를 두어, 살아있는 자들이 죽은 자들을 위한 위령기도를 통해 죽은 자가 하느님의 자비로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고 보았다(주형직, 2012).
불교적 관점에서는 죽음을 깨달음의 지혜로 본다(윤영해, 2000). 불교에서 가르치는 죽음이라는 실체는 본래 처음부터 없다는 깨달음이요 죽음을 두려워하는 주체적인 의식실체로써의 자아도 없다는 깨달음을 통해서 온다. 죽음이라는 관념을 없애버림으로써 죽음을 극복한다. 즉, 삶에 대한 집착과 죽음이라는 공포 이 두 가지의 허구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비로소 인간은 해탈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은봉(2001)은 불교에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인간의 상황에 대한 이해와 윤회사상이 그 중심을 이룬다고 보았다. 곧 죽음은 윤회라는 순환과 인생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영원한 불사불멸의 단계인 열반에 이르는 기회인 것이다. 김정우(1999)는 생과 사의 문제에 대하여 ‘인간의 일생은 괴로움이다. 산다는 것도 괴로움이요, 잃는 것도 괴로움이며, 죽는 것도

-----
11 -
괴로움이다’라고 하였다 즉, 인생을 구성하는 모든 육체적, 정신적 요소는 다 고(苦)인 것이다.
무속신앙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 같다. 그러나 불교와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불교는 윤회의 인과응보 사상이나 무속은 망자의 한을 풀어주어 저승으로 보내어 남은 가족들이 편안하게 살도록 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속의 죽음관은 죽은 사람 중심이 아니라 산 사람 중심이므로 현재의 삶을 더 중시하고 있다(박지선, 2002).
유교에서의 죽음에 관한 태도를 보면, 유교는 내세관이 없으면 종교도 없다는 말과 같이 유교 자체로는 내세관이 따로 없기에 죽음에 대한 태도가 분명하지 않다(윤영해, 2000). 따라서 유교에서는 죽음을 육과 혼백이 분리된 상태로 보았으며, 삶과 죽음은 자연법칙에 의한 회귀의 과정으로서 순환관계로 보았으며 육체의 죽음 또한 단절이 아닌 생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하늘에 운명이 달려있다고 보았다(최웅열, 2012). 그로 인하여 조상의 넋이라도 위로하려는 차원에서 조상숭배와 함께 제사를 지내는 관습이 대두되었다. 윤영해(2000)는 유교는 특히 효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살아생전 부모에게 효도하고 죽은 후에도 공양하는 윤리적 개념이 첨가되어, 죽음의 문제보다 죽은 자에 대한 조상 봉사의 과제를 중요시하는 입장이라고 보았다.
도교에서는 사람이 죽는다는 것은 자연의 법칙에 따라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도가의 사상은 죽음이란 사계절의 자연이 있듯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고 도래하는 것으로, 죽음은 하나의 휴식이며 하나의 맥락 속에서 삶과 죽음이 다를 것이 없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사후 세계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도 확신도 없으며 그저 바르게 살다가 바르게 돌아가는 길이 있을 뿐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죽음을 문제시하지 않았고 단지 자연의 변화의 일부로서 도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죽음을 인식하였다(김태훈, 2009; 최고은, 2012).
이슬람교에서 본 죽음은, 유일신 알라(Allah)가 무에서 인간의 육과 영혼

----
12 -
을 창조하였고 마침내 영혼과 육체가 분리되어 그 일체감이 소멸된 상태를 의미하고, 죽음은 육체에 대한 영혼의 보살핌이 마감되는 시점으로 삶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되는 기쁜 사건이며(김영재, 2011) 다시 부활의 날에 소생한다고 정의한다.
이상과 같이 종교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는데, 죽음 앞에서 인간은 모두 종교적이 된다. 죽음에 대한 의미와 그 이해를 위해 종교가 말하는 구원의 다양성의 모습을 보면서, 종교가 유한한 생명의 덧없음과 죄의 업보를 넘어선 영원한 생명, 불사불멸의 생명으로 고양된다는 신념을 지닌다(장옥화. 2004)는 점은 모든 종교에 공통적으로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여 이제까지의 죽음에 대한 고찰을 통해 종합하여 보자면, 죽음의 의미를 크게 다섯 가지로 말할 수 있겠다.
첫째, 인간의 죽음은 자연스러운 사건이다. 인간의 죽음이 단지 생물학적인 단절이나 종말이 아닌, 자연스러운 이치로써 우리 삶을 마무리하는 중요한 순간이다.
둘째, 죽음은 자신과의 인격적 만남이다. 인간은 다른 생물과는 달리 죽음의 의미를 알고 그 죽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죽음사건은 인간이 동물과는 다른 인간으로써 최고의 행위라 할 수 있다.
셋째, 죽음은 의미 있는 삶의 연장이며(김정우, 1999), 삶에 가치를 부여한다. 우리가 죽음을 직면하고 수용할 때 비로소 삶에서 무엇이 가치가 있고 의미 있는 것인지를 깨닫도록 돕는다. 적극적으로 죽음을 받아들일 때 우리의 삶의 변화가 비로소 이루어진다.
넷째, 죽음은 삶의 완성이고 결실이다. 모든 죽음은 각자의 것이다. 한 사람의 죽음은 존엄한 것이며 그 사람만이 가지는 특별한 종말이며 삶의 마무리이다. 한 사람의 완성인 동시에 그 사람이 일생동안 이루어 온 삶의 마지막 결실인 것이다.


-----
13 -
다섯째, 죽음은 자기소멸로써 공동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사건이다. 한 사람의 죽음이 우리자신을 불가역적으로 변화시키고 우리 주위의 세계가 변한다. 죽는다는 사실은 문화를 초월한 진리이나 죽음을 마무리하는 방식 또한 문화마다 다르다. 죽음을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더 이상 그것은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동경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사랑하는 이의 시체는 달콤하고 사랑하는 이의 시체는 아름답다.(장옥화, 2004) 이는 죽음을 찬미하는 신비가들의 태도로, 이들에게 죽음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은 듯 하였다. 이들은 현세에서 여러 형태로의 죽음을 체험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들은 육신에 갇힌 우리의 영혼과 정신이 제한받는 현세의 삶에서 자유로이 벗어나는 순간을 바로 죽음이라고 보고 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우리가 죽음에 대해서 부정하거나 회피하든, 직시하고 받아들이든 간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 안에 어찌되었건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을 직시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삶의 본질을 회피하는 태도를 만드는 것이다. 그 맥락에서 Yalom은 단 한 문장으로 '죽음을 직시하는 것이 삶의 가치를 일깨워준다.'로 표현하였으며, 김준희(2013)는 인간은 늘 일상에서 죽음을 직면해 왔으며, 죽음이 먼 미래의 것이 아니라고 강조하였다. 즉 죽음을 수용하는 것 자체는 고통스러울 수 있으나 가까워진 죽음을 직면했을 때 인간은 한층 죽음이 주는 공포와 불안을 떨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죽음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사유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데 있어 충분한 요소가 되며, 진정한 삶의 가치를 숙고하고 도출해낼 수 있다.

-----
14 -
2. 노년기와 죽음

모든 인간은 점점 노쇠해감에 따라 노화와 관련하여 죽음에 대해 두려움과 고통을 인지한다. 자기생명의 말살에 대한 죽음공포에 대한 반응은 회피와 절망감의 동반과 함께 다양한 내적갈등양상을 수반하게 된다. 이는 자연스러운 노쇠현상의 수용에 비하여 심리적인 공포가 크다. 이것은 누구나 자기 혼자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것과 영원히 의식을 잃는다는 것에 대한 공포감이며, 바로 이러한 공포로 몰아넣는 죽음을 기피하고 싶기 때문이다(김정우, 1999). 죽음의 의미나 죽는다는 것의 의미는 생물학적이고 심리사회적현상에 따라 다르지만, 윤진(2000)에 의하면 노년층에서 찾아낼 수 있는 죽음의 의미는 시간의 제약 또는 종말로 보는 것, 죽음을 상실로 보는 것이다.
노년기에 이르면 죽음은 모든 불안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가끔 대단히부정적인 감정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대다수의 노인들은 죽음 그 자체를 두려워하기 보다는 죽음과 관련된 다른 것들에 대해 더 많은 두려움을 갖고있다. 그런데 이 두려움은 나이가 든다고 해서 약화되는 것이 아니다. 늙어가면서 삶과 익숙해지고 친숙해지면서 오히려 죽기가 어렵다고 한다(김승희,1998).
Erikson은 생애 발달이론을 통해 노년기의 사회·심리적 발달과제가 통합이며, 통합을 이루지 못했을 때 절망하게 된다고 하였다. 통합이란 죽음을수용할 준비를 포함한 자기실현의 과정이며, 이 마지막 과업을 완수하지 못했을 때 우울과 슬픔, 삶의 후회가 쌓이게 된다고 하였다.
Butler(1970)는 임종과정에 대한 이론에서 생애 회고단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에 따르면 사람은 노년기에 이르면 과거를 회상하고 재평가하게 되는 데, 이때 권리만을 주장하거나 적을 만들지 말 것이며, 노인임을 자각하고 사회의 윤리도덕을 수용해야 하며 이를 이루지 못했을 경우 죄의식과 분

-----
15 -
노, 불안을 경험하며 최악의 경우 자살에 이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몇몇 학자들은 인간의 전 생애 주기에 있어서 ‘잘 삶’으로의통합이 없다면, 늙는 것과 죽어감은 상당히 부정적이며, 특히 생애 회고 단계의 중요성을 이야기하였다.
노년기의 죽음에 대하여 또 다른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면, 정운경(2014)은 노인의 ‘사회적 죽음’에 대해 이야기 하였는데, 노년기에 활동단계에서 유리되는 것을 자연스러운 과정이라 주장하면서 사회로부터의 유리는죽음의 준비라고 하였다. 이로 인해 노인을 피하거나 물건취급 혹은 죽은 사람 취급을 하는 것을 사회적 죽음이라 하였다(양옥남 외, 2009).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삶의 배경이 비슷하다할지라도 서로 매우 다를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김태현, 손양숙, 1984; 김인자, 1984; 박형규, 2009: 이예종 ,2005; 조지연, 1989)은 죽음에 대 한 태도와 두려움을 서로 같은 의미로 간주한다. 노인의 죽음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사회 문화적인 특성 모두를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회와 문화는 개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일정한 행동을 하게하고 의지에 따른 선택을 하게 하는 데 결정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노인의 죽음을 다룰 때는 그 개인의 사회, 문화적 환경, 종교,인종, 관습 등의 배경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가 달라지는 것은 말할 것도없다.
현대인들에게는 죽음이 일어나는 환경도 크게 변했다. 산업사회가 되기전에는 대부분 집에서 사망을 다뤘고, 죽음을 둘러싼 의식들은 지역사회에서함께 이루어졌었다. 요즈음은 대부분의 죽음이 병원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거나 양로원에서 발생하며, 가족 역시 몇 명의 가족, 친지들이 참여하여 틀에 맞춰진 장례절차에 따른다. 이는 노년기의 죽음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요인과 함께 개인적인 또 다른 두려움 중의 하나로, 건강보호를 지속적으로

------
16 -
받을 수 있는 데 드는 경제적인 손실에 대한 두려움 또한 커진 것이다(김동만, 2002).
그러므로 현 시대의 노년기의 죽음은 죽음의 장소와 그 형태, 가치관, 종교, 성장 발달 수준, 사회적 지위, 삶의 의지와 방법, 관습과 태도, 독립성의수준, 육체적 건강, 교육수준, 가족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변수에 의해 죽음에 대한 이해와 의미는 달라진다고 할 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노인들은 일반적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와 거부를 가지고 있는 한편, 죽음의 불가피성을그 동안의 경험을 통해 인지하고 그것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동시에 가지고있다.
다시 말하면, 노인들은 죽음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수용적 태도 모두를지닌다는 뜻이다. 부정적 태도는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애써 외면하려는 것이고, 죽음 가운데 있으면서도 죽음을 자신과 무관하게 생각한다. 언젠가 한번은 죽을 것임을 알고 있으면서도 죽음을 직면했을 때 극단적인 절망과 부정을 하게 된다. 수용적 태도는 자신의 삶의 끝임을 자각하고 죽음을 대비하여 받아들인다는 것이다(윤진, 2000).
죽음을 수용하는 노인은 죽음을 불가피한 일로 삶의 자연스런 순환으로
받아드린다. 따라서 두 가지의 양면적인 진실을 직면하여야 한다. 누구라도사람들은 죽음에 대해 거부하거나 또는 수용적인 것이다. 죽음을 수용하여자신의 죽음을 담담하게 이야기 할 지라도 깊은 내면의 심리에는 참으로 받아들이기가 힘든 것이 죽음인 것이다(Cicero, 2002). 더 이상은 당당하게 살수 없을 경우 당당하게 죽는 것, 자발적 선택의 죽음준비, 제 때에 자식들이지켜보는 앞에서 명료한 의식 상태에서 작별을 고하는 것이 가능한 그런 죽음을 맞이하는 것 즉, 존엄하게 죽음으로써 삶을 획득하는 것이다. 노년기의 죽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삶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죽음을 맞이하는준비를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
17 -


3. 한국인의 죽음관

한국인은 죽은 후에도 다른 종교나 다른 문화에서 말하는 현세와 내세가나누어진 이분법적인 구분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천도재나 49제와 같은 형태로 살아있는 있는 이들이 돌아가신 분들과의 조우를 하고자 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때문에한국인에게 있어서 웰다잉은 단순히 남은 삶을 준비라는 것이 아닌, 남아있는가족들과의 관계를 지속하는데 그 특징을 담고 있어야 한다고 여겨진다. 영화“축제”에서처럼 가족의 일원이 돌아가신다는 것은 단순한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으로 말미암아 온 가족이 모이고, 그 모인 자리에서 망자에대한 회상과 그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그 끈을 잃지 않는 것이다.
김명숙(2010)의 ‘한국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철학적 고찰’에서 한국인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통해서 죽음을 생각하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죽음이나 인생의 고난에 봉착하면서 죽음을 연상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한편, 한국인들에게 죽음은 단지 생물학적인 생명의 단절로서의 끝이 아니라 심리적 철학 · 종교적인 측면이 통합적으로 얽혀 있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죽음의 원인으로는 노화나 수명이 다함혹은 자연의 섭리와 같은 천명의식과 질병이나 사고와 같은 개인적으로 통제 가능한 요인을 비슷하게 많이 들고 있었다. 죽음의 결과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없는 ‘무(無)’나 ‘끝’이라는 생각과 내세나 천국과 같은 다른 생으로 넘어간다는 인식이 비슷한 정도로 공존하고 있었다. 더욱이 한국사회는 현세적 삶에 대한 지향성이 높은 유교적 전통사상의 영향으로 ‘죽음’이라는 단어조차도 재수 없고 불길하게 여겨 죽음문제에 대한 논의자체를 기피하는 경

-----
18 -

향성이 많다. 또 다른 논문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한국인의 60%이상이 ‘죽음이후 영혼이 가는, 이승과는 다른 또 어떤 미지의 세계가 있으리라는 믿음을가지고 있다’고 하였다(김명숙, 2010).
한국인의 원초적인 생사관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무교(巫敎)나 장례,
제사 등에서 강하게 느껴지는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는 죽음에 대해서‘이승에서의 해방’이나 ‘하늘나라의 부르심’이라기보다, ‘업보, 죄의 대가, 원한의 결과’등과 같은 좋지 않는 이미지가 우세하다(이홍우 외, 1988). 그런면에서 볼 때, 불교의 천도재나 49재는 가장 흔히, 그리고 많이 시행되고 있는 죽음의 의례이다. 불가에서는 매월 18일을 지옥중생들을 구원의 길로 인도하는 지장보살에게 공양을 올리며 49재와 천도재를 지낸다. 사람이 죽으면곧바로 극락세계로 가는 것이 아니라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49일을 떠돌게된다. 이 기간이 지나면 각자의 업에 따라 제 갈 길로 가는 데 이러한 의례는 좋은 곳으로 잘 가도록 인도해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는 유학의 죽음관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고 볼 수 있는 데, 공자는 죽음이나 귀신에 대해서 직접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죽음을 묻는 제자에게 ‘삶도 모르는 데 어떻게 죽음을 이야기하겠는가?’라고 반문하였다. 서구사상에 비해 동양사상들은 대체적으로 내세보다현세적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논어, 제11권) 이런 현세적 삶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죽음을 어둡고 부정적으로 보게 만드는 데 일조했을것으로 추측된다.
한국인에게 죽음은 ‘노화와 수명을 다하는’ 자연의 섭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비교적 많았고 그 다음으로 질병이나 사고를 죽음의 원인으로 꼽았다(김명숙, 2010). 그럼에도 죽음이 신체기능의 정지라기보다는 세상에서의 자기존재의 소멸이나 단절 혹은 의식의 소멸과 같은 철학적이고 심리적인 의미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인생사의 정리나 완결 혹은 내세로 이어지는 중간단

-----
19 -

계라는 실존적이고 종교적인 의미로 다가온다고 볼 수 있다. 하여 한국인의죽음관도 초월적 존재의 힘과 과학적 이해가 혼용되어 있음을 보였으며, 죽음과 관련하여 종교나 형이상학적 관점과 과학적 관점에서 죽음을 바라보고있음이 시사된다.


4. 웰다잉(well-dying)

삶의 마무리인 죽음이라는 결코 피할 수 없는 논제 앞에서, 전반적인 삶의 질을 평가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것은 죽음을 앞둔 이가 어떠한죽음을 맞이하는 가의 여하에 따라 다르다.
존엄한 죽음, 품위 있는 죽음 즉, 좋은 죽음이 곧 웰다잉이다. 또한 웰다잉은 잘 죽어가는, 행복하게 죽어가는, 훌륭하게 죽어가도록 ‘아름답고 편안한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송세현, 2011).
좋은 죽음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는 바로 ‘지금 여기’의 삶을 충실히 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현실을 도외시하고는 좋은 삶 또는 좋은 죽음이란 있을수 없다. 그러므로 잘 사는 것도 중요하지만, 잘 죽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Tolstoy, 1908). 특히 웰다잉은 인간의 어느 한 영역에서만 만족되는 상황에서의 죽음이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측면이 모두가 긍정적인통합과정으로 일치되었을 때 진정한 웰다잉을 위한 준비라고 할 수 있다. 본연구에서는 임종이니 죽음이니 하는 언어를 순화하고 죽음준비 교육이라는말을 총칭하여 웰다잉 준비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표현하겠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좋은 죽음’이란 신체적으로 고통과 통증이 없이 마지막 생의 마무리를 기계적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편안하게 마무리하는 것이다. 또한 정신적으로도 불안과 두려움 없이 자연스럽게 죽음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며, 사회적 측면으로도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삶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

----
20 -

라 인간의 인격과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죽음이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법적,의학적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적 측면에서도 종교적 행위를 통해서 영혼의 안식과 희망으로 가득 찬 죽음을 깨우쳐주며 평화로운 안식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죽음철학에 관하여 “인생에서 내가 한 모든 일을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죽음을 끊임없이 연습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죽음의 의미나인생의 유한한 삶을 자각하면서 오늘을 충실하게 사는 삶이야말로 곧 좋은죽음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신의 죽음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를 꺼린다. 죽음이 자연적이고 피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부지불식간 자신에게만은 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지니며, 두려움과 공포로 반응하는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수많은 세월 동안 많은 사람들은 죽음의 불가피성에 도전하기도 하고 순응하기도 하면서 결국 죽음의 필연성을 수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죽음의 필연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요구하였고, 이 의미를삶 속에서 깨닫도록 노력할 때 좌절이나 절망의 자세가 아니라 적극적인 자세로 죽음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요구되는 것은 자신의 유한성을인정하고 최선을 다하는 삶이며, 죽음의 의미를 인식하고 바른 자세로 살아가는 것으로, 죽음의 불가피성 앞에서 좌절하거나 부정하지 않게 될 것이다(김정우, 1999).
인간이 생명을 연장하려는 의학이 발달하면서 좋은 죽음의 문제는 철학적,사회적, 법적 이슈로 급격히 부상하였다. 특히 상장례 문화, 의료지시의향서등 죽음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상당히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은사실이나 죽음을 가능한 한 공포 없이 맞을 수 있는 방법을 모르거나 친밀한 사람들의 죽음 앞에서 자기의 감정을 어떻게 조절하고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준비하고 적응해 가야 할 지 잘 모른다는 것이다 (최신덕, 1998).

-----
21 -

한나영(2002)은 노인들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라 하였다. 첫째, 적절한 수명까지 살다가 죽는 것이다. 즉, 너무 지나치게 오래살지 않으면서 자기 명대로 살다 죽는 것이다. 둘째, 무병사이다. 죽는 날까지 내 수족을 놀리며 큰 중병 없이 살다가 죽는 것을 좋은 죽음의 조건으로보았다. 셋째, 배우자보다 먼저 죽는 것이다. 노인들은 배우자나 자손들의 죽음을 자신이 겪고 싶지 않다는 의미에서 자신이 먼저 죽는 것을 선택했다.
넷째, 자손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죽는 일이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지나치게 오래 사는 것이 자손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라 생각한 것이다. 다섯째, 가족들이 다 있는 앞에서 죽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임종을 온 가족이 지켜주는 것, 자신의 이승에서의 보람과 결실을 내려다보며 자식들이 보는 앞에서이별을 고하는 것이 좋은 죽음이라 생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로부터 오복 중에서 가장 큰 복을 자택사라고 믿어왔다. 자녀들을 모아놓고 유언도 하고 자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운명하는 것이 복이 많은 죽음이라고들 하였다.
또한 김명숙(2010)은, 한국인들은 ‘죽어 가는 과정’ 및 죽음에 대해 다음과 같은 태도를 가지고 있다. 첫째, 고통 없이 육체적으로 편안한 죽음, 좋은죽음이어야 한다. 둘째, 후회와 집착이 없는 죽음이어야 한다. 셋째, 내 집내 방 혹은 좋아하는 장소에서 죽는 죽음이어야 한다. 넷째, 가족들 가운데죽는 죽음이어야 한다. 죽음은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삶의 실존이다. 좋은 ‘죽어가는 과정’과 ‘죽음’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준비가 필요하고, 잘 준비된 죽음은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도 잘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위의 한나영(2002)과 김명숙(2010)의 연구에서 보았듯이, 죽음장소와 관련하여서도 대부분의 노인들은 자택에서 평온한 죽음을 맞이하기를 원하고 있다. 현대의 한국인들은 임종자의 5%만이 자택사를 하고 대부분 병원 중환자실 또는 호스피스병동에서 생을 마감한다. 생면부지의 영안실에서 장례절차

-----
22 -

를 치루는 현대판 고려장이 되어버린 한국의 장례문화를 개인적으로는 통렬히 생각한다. 일면식도 없는 의사의 손에 의해 고통스러운 인공호흡기의 스위치가 움직여지고, 한 생을 함께한 가족이 아니라 타인의 의지에 의한 굴욕스러운 죽음을 맞이하는 것은, 유교적 환경과 혈연가족 중심의 한국사회 안에서는 결코 좋은 죽음은 아닐 것이다.
어떠한 죽음이 행복한 죽음이며 어떠한 죽음이 불행한 죽음이냐, 또한 무엇이 행복이고 무엇이 불행인가 하는 문제는 영원한 의문이다(임춘식, 2001)라는 전제하에서 어떤 죽음을 선택할 것인지 딜레마인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이제 능동적인 죽음을 바란다. 이른바 죽음을계획하고 인간다운 죽음, 존엄한 죽음, 아름다운 죽음을 맞기를 원한다. 미리유언장도 써두고 수의도 마련하며 육체가 땅속으로 갈 것인지 수목장을 할것인지 혹은 기증을 할 것인지도 깊이 생각하며 심지어는 자신의 장례식에참석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전 육성을 전하는 경우도 생겨나기 시작했다.이제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준비한다는 것이다.
죽음은 이 세상에서의 삶의 대단원을 마무리하는 과정이다. 떠나는 사람은 존엄하게 삶의 최후를 맞고, 떠나보내는 사람은 지상에서의 마지막 이별이 삶의 의미로 살아나야 한다. 그럼으로 비단 노인들뿐만 아니라 사람들이자신들의 죽음과 죽는 방식을 생각해보고, 자신이 좋은 죽음을 가질 권리를선택하려는 움직임은 영적 자아의 실현에 도달하겠다는 폭넓은 도전이다. 죽음을 앞두고 있는 노인들이 어떻게 죽음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서삶의 방식과 태도가 달라진다. 즉,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는 어떻게살아왔는가와 연결되어 있으며, 좋은 삶이 좋은 죽음을 맞게 해 줄 것이다.
결국, 좋은 죽음이란 좋은 삶의 마무리다(임송자, 송선희, 2012). 그러므로 죽음을 매개로 한 삶에 대한 통찰은 우리를 자아실현의 존재가 되도록 고무시키고 죽음불안에 대한 통념을 깨트린다.

-----
23 -


제2절 죽음불안

1. 죽음불안의 의미

가족과 친지 등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을 목격하거나 경험을 하게 되는사람들은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런 사실을 상기할 때 우리는 두려움에 휩싸인다. 죽음불안은 인간이 죽음에 대해본능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되면서 앞으로 맞이하게 될 죽음이 언제,어디서, 어떻게 발생할 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나는 보편적이고일반적인 불안한 정서이다(김인자, 1984).
죽음불안은 좁은 의미로는 존재의 정지에서 오는 두려움과 죽어가는 과정에서 오는 두려움을 뜻하며, 넓은 의미로는 죽음에 대한 공포와 죽음의 기피, 죽음의 혐오 등으로 정의된다. 자신의 수명이 얼마 남았는지, 어떤 모습으로 삶을 마감하게 되며 죽은 후 무슨 일이 생길 것인지에 대한 일말의 불안감은 누구에게나 있다. 죽음불안은 인간이면 누구나 갖게 되는 두려움이고특히 인생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는 노인들에게는 직접적이고도 더욱 생생한 두려운 상태이다.
김희경(2006)은 필연적인 죽음불안은 두 가지로 관철된다고 하였다. 자신에 대한 죽음불안과 타인에 대한 죽음불안이 그것이다. 노인의 자신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생의 ‘정지’에서 오는 두려움을 말할 것이며, 타인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타인의 생의 정지에서 느껴지는 두려움일 것이다. 자신의임종에 대한 두려움은 내 자신이 죽어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두려움이며, 타인의 임종에 대한 두려움은 타인이 죽어가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두려움일것이다. 즉 죽음의 과정 전체를 통하여 심리적, 육체적, 사회적으로 소외와박탈을 체험함으로써 느끼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 존재의 유한성과

-----
24
직면할 수밖에 없다. Collect와 Lester(1969), Pattison(1977)는 죽음불안의 구성요소를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공포, 죽음에 대한 공포, 사후 결과에 대한 공포 그리고 타인이 죽어가는 과정에 대한 공포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죽음을 직면하게 되었을 때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 고독과 가족을 잃는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 신체를 잃는 것, 주체성이나 자제력을 상실하는 것, 매장에 대한 두려움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죽음과 죽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상당히 다차원적인 개념이며(박지은, 2009), 그러면서도 오히려 이를 정확하게 지각하고 남은 여생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면서 정리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전영기, 2000). Templer(1982)는 개개인의 정신, 심리적 적응과 죽음불안이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했으며, 죽음불안도는 노인들이 그들의 삶을 어느 정도 의미 있게 또는 만족스럽게 느끼는 정도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노인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죽음을 직시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면, 나머지 인생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어려운 변화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또는 생산적으로 대처해 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노년을 제외한 다른 발달단계에서는 죽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도 미미한 편이다. 하여 본 논문에서는 성인기와 노년기의 죽음불안에 관한 설명으로 정리하겠다. 20세 이후 성인 전기로 들어서면, 이 시기의 사람들은 죽음에 대한 생각을 회피하며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싶어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오히려 이 시기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죽음불안이 증가될 수가 있다(Thorson, 1990). 불안은 오히려 맞닥뜨리고 직면할 때에 더 소멸되며, 피할수록 그 불안은 더 많아진다는 사실이 설명된다. 성인 후기가 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죽음이 대해 진지하게 인식하게 되며 부모가 죽음으로써 그 부모의 위치에 서게 되고, 주변인들의 죽음 경험이 빈번해지면서 자신도 언젠가는 죽을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죽음

-----
25

이 갑자기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죽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함께 터부시하는 경향 때문인지 죽음에 대해 거의 준비를 못하고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마음의 준비가 전혀 없는 상태로 자기의 죽음에 임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마지막 작별을 한다. 죽음과 관련된 감정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체험임에도 불구하고, 그 공포와 직면하기를 대단히 두려워한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죽음불안에 대한 압박감과 두려움은 더욱 가중될 것이다. 하물며, 중년기 성인에게 죽음은 가족에 대한 의무 이행의 장벽이고, 미래의 모든 계획들이 산산조각 나버리는 절망 자체이며, 동료들의 갑작스런 죽음을 접하게 되면 죽음불안에 대한 공포는 더욱 급증하게 될 것이다(장옥화, 2004).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죽음을 생의 주기로 두려움 없이 받아들인다는 것은 곧 체념을 말할 것이며, 무가치하고 의미 없는 가운데 맞은 죽음은 웰다잉과는 거리가 멀다. 또 한편으로는 죽음불안을 떨쳐내고 좋은 죽음을 맞고 싶다 하여도 가족 구조가 와해되고 기능이 축소되면서, 죽음은 가족과 나의 삶의 과정이 아니라 전문직에게 떠맡겨진 일거리가 되었다. 의료인들은 과학 기술을 맹신한 나머지 생명을 기계로 연장하는 일에 집착하게 되었고, 자신의 의지로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일도 허용하지 않는다(장옥화 2004; Robbin, 1993). 따라서 이 시대에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은 죽음의 고통 이외에도 무관심과 비인격화에 의한 고통도 아울러 극복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다.

2.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몇몇 학자들의 연구논문을 살펴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