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버산업 50+세대/일자리

일본은 '졸업이 취업'… 청년 실업률, 한국의 절반

by ∺∺§∺∺ 2017. 11. 6.
728x90
반응형

입력 : 2017.02.07 03:00

인구비중 가장 큰 단카이 세대… 은퇴 본격화 후 고용여력 생겨
호봉 중심의 임금 개혁도 한몫

'프리터족(族), 패러사이트 싱글(부모에게 얹혀사는 독신)….'

1990년 말부터 한동안 일본에선 변변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채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을 일컫는 신조어들이 쏟아졌다. 십수년간 이어진 장기 불황으로 취업 시장이 얼어붙어 청년 실업률이 매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때였다. 하지만 요즘 일본은 '졸업만 하면 취직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사정이 180도 바뀌었다. 지난해 일본 대졸 취업 희망자의 취업률은 97.3%, 고졸 취업률은 97.7%였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도 한국(9.8%)의 절반 수준인 5.2%에 그쳤다.

일본이 '취업 빙하기'를 탈출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인은 생산 가능 인구 감소 등 사회 구조적 변화 때문이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전체의 21%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생산 가능 인구가 최근 20년 사이 1000만명가량(1995년 8717만명→2015년 7828만명) 줄었다. 지난해 구직자 1명당 1.36개 일자리가 있을 정도로 노동시장 수요가 공급을 초과했다.

이장원 노동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1947~1949년 출생한 '단카이'(團塊) 세대가 2000년대 중후반부터 퇴직한 것도 신규 일자리 창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생산 가능 인구가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섰다. 여기에 1955~1963년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대부분 은퇴하는 2020년 초·중반이면 현재 일본과 비슷한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을 수 있다.

이지만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일본은 기업들이 호봉제 중심 임금체계를 직무·성과급으로 전환해 경쟁력을 키운 것도 '고용 절벽'에서 탈출한 또 다른 원인"이라며 "기업이 이윤 감소 등으로 경쟁력을 잃거나 고용 규모를 줄이면 인구 구성비가 바뀐다고 해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728x90
반응형

댓글